윤 대통령 "북 비열한 도발 좌시 않을 것…'통일 대한민국', 강한 국방력이 바탕이 되야..

"평화는 자주국방의 힘으로 지켜야"
북 언급,오물풍선에 "부끄러울 수밖에 없는 방식"


[kbn연합방송=배용완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6일 제69회 현충일 추념식에 참석해 "평화는 굴종이 아니라 힘으로 지키는 것"이라며 "통일 대한민국으로 나아가는 일도 결국 우리가 더 강해져야 가능한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최근 북한의 '오물 풍선' 등 도발을 강력 규탄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국립서울현충원에서 ‘대한민국을 지켜낸 당신의 희생을 기억합니다’를 주제로 열린 제69회 현충일 추념식에서 "북한 정권은 역사의 진보를 거부하고 퇴행의 길을 걸으며 우리의 삶을 위협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서해상 포사격과 미사일 발사에 이어 최근에는 정상적인 나라라면 부끄러워할 수밖에 없는 비열한 방식의 도발까지 감행했다"고 밝혔다. '비열한 방식'은 최근 북한이 살포한 오물 풍선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은 "정부는 이러한 북한의 위협을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며 "철통같은 대비태세를 유지하며 단호하고, 압도적으로 도발에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윤 대통령의 이같은 발언에 좌중에서는 박수가 나오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현충일 추념사를 통해 9.19 남북군사합의를 전부 효력 정지한 이후 사실상 처음으로 북한의 도발과 관련한 입장을 내놓은 것이다. 윤 대통령은 '통일 대한민국'이라는 표현으로 한국 정부가 주도하고 '힘'에 의한 통일론을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한층 더 강해진 한미동맹과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토대로 국민의 자유와 안전을 단단히 지키겠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평화는 굴종이 아니라 힘으로 지키는 것"이라며 "우리의 힘이 더 강해져야만 북한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했다.

또 "북한 동포들의 자유와 인권을 되찾는 일, 더 나아가 자유롭고 부강한 통일 대한민국으로 나아가는 일도 결국 우리가 더 강해져야 가능한 것"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또 순국 선열, 호국 영령, 제복 입은 영웅, 유엔군 참전 용사를 언급하며 "이 모든 영웅들께 머리 숙여 경의를 표한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 3일부터 5일까지 한국에서 치른 '한-아프리카 정상회의'를 이야기하며 "이번에 참석한 나라들 가운데에는 6.25전쟁 당시 우리를 도왔던 여러 나라들이 포함되어 있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아프리카 정상들과 대표들은 대한민국의 오늘에 경탄하며 우리의 경험을 배우고 싶어 했다"면서 "이렇듯 우리의 지난 70년은 그 자체로 기적의 역사"라고 했다.

윤 대통령은 "순국선열과 호국영령들께서 보여주신 국민과 국가를 위한 숭고한 희생은 세대를 바꿔 이어지고 있다"며 지난 1월 순직한 김수광 소방장과 박수훈 소방교, 지난 3월 순직한 한진호 해군원사를 언급했다.

그러면서 "다시 한번 고인들의 명복을 빌며 지금도 굳건하게 대한민국을 지키고 있는 모든 영웅들께 깊이 감사드린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저와 정부는 국가와 국민을 위해 자신의 모든 것을 희생한 영웅들에게 최고의 예우로 보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가족을 위해서도 "작년에 시작된 ‘히어로즈 패밀리’ 프로그램을 더욱 확장해 한 자녀, 한 자녀를 내 아이들처럼 꼼꼼하게 보살필 것"이라고 했다.

올해 추념식에는 국가유공자 후손과 제복근무자(군인·경찰·소방관 등)가 직접 주요 식순에 참여했다.

3대째 군 복무를 하고 있는 성진제 해군 소위(조부 6.25 참전용사, 부친 공군중위 전역)가 '국기에 대한 맹세'를 낭독했다.

애국가 제창에서는 현역 군인으로 복무 중인 국가유공자 후손들과 현직 경찰·소방관이 선도제창자로 참여했다.

'전우에게 전하는 편지'는 백마고지 전투에 참전했던 6.25 참전유공자 이승초 씨가 직접 작성한 편지를 백마고지 전투 참전용사(박명호 님)의 손자인 박희준 육군 중사가 낭독했다.

대통령은 지난 1월 경북 문경시 화재로 인해 순직한 고(故) 김수광 소방장과 고(故) 박수훈 소방교의 유족 등 4명에게 국가유공자 증서를 수여하고 국가를 위한 희생과 헌신에 감사를 표했다.

추념식에는 국가유공자와 유족, 정부 주요 인사, 국회의원, 군 주요 직위자, 중앙보훈단체장, 일반시민 등 5000여 명이 참석했다.


kbnnews@ikbn.kr

<저작권자 ⓒ KBN연합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용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