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지능 기술로 진화하는 네이버지도, ‘실내 AR 내비게이션’ 출시… 실내에서도 정확한 길안내 제공

- 네이버지도, 네이버랩스 공간지능 기술과 시너지 강화… 거리뷰 3D 이어 실내 AR 길안내, 플라잉뷰 3D 선보여
- 디지털 트윈, AI 비전 측위 기술력 집약된 AR 내비게이션, 서울 코엑스서 우선 적용… 대상 시설 순차 확대 예정
- 전국 주요 랜드마크 3차원으로 생생하게 구현한 플라잉뷰 3D도 공개

[kbn연합방송=김진영 기자] 네이버지도가 지난해 선보인 ‘거리뷰 3D’에 이어, 네이버랩스의 공간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실내 AR 내비게이션’, ‘플라잉뷰 3D’를 새롭게 공개하며, 서비스 경험 혁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네이버㈜(대표이사 최수연)는 GPS 없이도 실내 공간에서 네이버지도를 통해 정확한 길안내를 경험할 수 있는 ‘실내 AR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정식 오픈했다고 23일 밝혔다. 이와 함께 국내 주요 랜드마크를 3차원으로 구현한 ‘플라잉뷰 3D’도 선보였다.

실내 AR 내비게이션은 GPS 신호가 닿지 않는 곳에서도 스마트폰 카메라만으로 이용자의 위치와 방향을 정확하게 인식해, AR로 길을 안내해주는 서비스다. 카메라로 주변을 스캔하면 목적지까지 이동 방향이 현실 공간 위에 직관적으로 표시되어, 대형 복합시설과 같이 복잡한 실내에서도 길을 헤매지 않고 쉽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번 업데이트와 함께 실내 편의시설 UI도 개선해, 이용자가 음식점, 카페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화장실, 안내데스크와 같은 편의시설을 한층 편리하게 탐색하면서, AR 길안내를 통해 목적지를 쉽게 찾아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실내에서도 정교한 길안내를 제공하기 위해, 네이버지도는 네이버랩스의 다양한 공간지능 기술을 접목해 서비스를 고도화했다. 대표적으로 ▲3차원 공간 정보를 구축하는 디지털 트윈 기술 ▲카메라로 현재 위치를 정확히 인식하는 AI 비전 측위(Visual Localization) 기술이 적용됐다. 이용자가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상황에서도 이용자의 위치와 바라보는 방향을 오차 없이 정확하게 파악하여, 이용자가 카메라로 비추는 공간에 식당, 카페, 상점 등 다양한 정보를 자연스럽게 증강하고, 실내에서도 정확하고 생생한 길안내를 제공한다.

실내 AR 내비게이션은 코엑스에서 우선 만나볼 수 있다. 네이버지도는 지난 8월부터 네이버 1784와 그린팩토리에서 AR 내비게이션을 시범 운영하며 기술 및 서비스 안정성을 높여왔다. 네이버지도는 코엑스를 시작으로 유동 인구가 많고 복잡한 복합 공간을 중심으로 대상 시설을 순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네이버지도는 전국의 주요 랜드마크를 한층 생생하게 탐색할 수 있는 ‘플라잉뷰 3D’ 서비스도 선보였다. 플라잉뷰 3D는 경주 첨성대, 서울 코엑스, 인천 송도 센트럴파크, 전주 한옥마을, 부산 벡스코 등 10개 명소 주변에서 우선 만나볼 수 있다. 네이버지도는 국내 대표 랜드마크와 주변 지역을 대상으로 플라잉뷰 3D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이를 통해, 방한 외국인 관광객들도 네이버지도를 통해 한국의 주요 명소들을 현실감 있게 살펴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플라잉뷰 3D를 로딩하면 네이버랩스의 노블뷰 신세시스(Novel View Synthesis, NVS) 기술로 구현한 실감나는 영상도 경험할 수 있다. 네이버랩스의 노블뷰 신세시스는 이미지 학습만으로 3차원 공간을 구성하고 여러 각도에서 촬영한 듯한 영상을 생성하는 3D 비전 기술이다. 드론으로 촬영한 고해상도 항공 이미지와 네이버랩스 자체개발 매핑 장비 P1으로 촬영한 거리뷰 3D 이미지를 결합해, 3차원으로 구현된 랜드마크를 다양한 각도에서 현실감 있게 둘러볼 수 있다.

네이버지도 서비스를 총괄하는 최승락 부문장은 “네이버지도는 장소 탐색부터 이동까지 전반적인 여정을 완결성 있게 지원하는 올인원 플랫폼에서 나아가, 오프라인의 현장감도 생생하게 구현하는 ‘현실과 가장 가까운 지도’로 거듭나고 있다”며 “지도와 공간지능 기술의 시너지가 무궁무진한 만큼, 이용자에게 더 혁신적인 서비스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지속 모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끝)


kimjy4385@ikbn.kr

<저작권자 ⓒ KBN연합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진영 기자 다른기사보기